직업정보론이란 직업시장을 예측하고, 내담자에게 적합한 직업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을 돕기 위하여 직업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이를 가공하고 체계화하여 제공하며, 정보를 축적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노동시장론에서는 노동시장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노동력의 특징, 노동수요의 성격, 생산물수요와 생산요소인 노동수요의 관계, 노동공급의 성격, 임금하락에 의한 노동공급, 최적 여가-근로모형에 대한 이해와 노동공급의 후방굴절의 이유를 이해하고, 임금론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임금수준의 결정으로 생계비, 지불능력, 사회적 균형을 이해하고, 임금체계로서 속직주의와 속인주의를 이해하고 임금형태로 연공급 직무급 직능급을 이해하여야 한다. 근로자의 근로의욕을 증진시키기 위한 차별성과급을 이해하고, 연봉제를 이해하여야 한다. 실업론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실업의 원인, 실업의 종류, 실업에 대한 대책, 실업을 줄이기 위한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을 이해하고, 금융정책을 통한 실업대책으로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에 Phillips곡선에 대한 이해를 하여야 한다. 노사간의 대립적 측면과 협력적 측면을 이해하고, 단체교섭제도, 노시협의회제도 등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교과목을 잘 이해하여 실제로 노동시장에서 임금과 신분상의 문제의 협상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근로자의 지위향상, 분쟁의 타결에 꼭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1. 노동시장을 예측하고 내담자에게 적합한 직업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2. 수집된 직업정보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할 수 있다.
3. 직업정보를 내담자의 수준별 단계별로 가공할 수 있다.
4. 가공된 직업정보를 평가할 수 있다.
5. 노동시장에서 왜 노동수요가 필요한가 그리고왜 노동공급이 필요한가를 이해하고, 노동상품이 일반재화와 다른 특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6. 노동시장에서 노동력의 대가로 지급되는 임금의 의미 기능 등을 이해하여야 한다. 노동력의 거래가격인 임금 승진 등에 대한 힘의 대립적 협력적인 노사관계제도를 이해하여야 한다.
7. 노동수요가 노동공급에 못 미치어 발생된 실업을 이햐하여야 한다. 실업에 대한 정부의 재정정책 그리고 금융정책 등의 유효성을 이해하고 실업을 줄이이기 위한 금융정책으로 Phillips곡선을 이해하여야 한다.
8. 청년 실업문제, 로보트가 인간을 대체하는 사회변동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동으로 발생된 구조적 실업에 대한 관찰과 이해가 필요하다. 본 교과목의 학습을 통하여 노동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업문제의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지침을 이해하고, 노사관계제도를 이해하여 노동시장의 구조와 운영의 묘를 터득하여야 한다.
* 각 차시별 목차
1차시 직업정보의 의의와 기능
2차시 직업정보의 분류
3차시 직업정보 관련법규와 직업선택
4차시 직업정보 원자료(직업정보원)와 직업정보 제공원
5차시 한국직업사전
6차시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1
7차시 한국직업사전의 부가직업정보2
8차시 한국직업전망서
9차시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연혁과 7차 개정방향
10차시 직업의 요건과 직업으로 인정되지 않는 활동
11차시 직업분류 기준과 직능수준
12차시 직업분류원칙
13차시 특정직종의 분류요령
14차시 한국고용직업분류의 개정과 개정특징
15차시 한국표준산업분류의 개정내용과 개요
16차시 한국표준산업분류상 통계단위와 생산단위의 활동형태
17차시 한국표준산업분류상의 산업결정방법과 적용원칙
18차시 직업훈련의 원칙과 직업훈련 분류
19차시 국민내일배움카드제도
20차시 워크넷의 이해
21차시 HRD넷과 Q넷, 국가자격제도의 이해
22차시 국가기술자격중 서비스분야와 NCS
23차시 국민취업지원제도와 청년내일채움공제
24차시 국민취업지원제도 일경험프로그램과 고용형태공시제도 등
25차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와 직업상담 프로그램
26차시 고용안정정책
27차시 고용보험사업의 의의와 피보험자격관리
28차시 실업급여의 종류와 구직급여
29차시 구직급여 기초일액과 소정급여일수
30차시 직무분석의 의의와 절차
31차시 직무분석을 위한 직무정보 수집방법
32차시 직무분석기법과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33차시 직무평가방법과 평가상의 오류
34차시 직업정보의 수집, 분석
35차시 직업정보의 가공, 제공, 가독성
36차시 직업통계 관련용어
37차시 노동수요의 의의와 노동수요의 결정요인
38차시 노동수요곡선과 수요곡선의 이동
39차시 노동수요 탄력성과 결정요인
40차시 기업의 이윤극대화를 위한 노동수요
41차시 노동의 준고정적인 비용과 장기 노동수요곡선
42차시 노동의 공급과 고용 통계상의 용어
43차시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의 형태와 결정요인
44차시 후방굴절형 노동공급곡선과 대체효과, 소득효과
45차시 노동공급의 탄력성과 완전경쟁시장
46차시 내부노동시장과 이중노동시장
47차시 노동시장의 균형과 노동시장의 수요독점
48차시 노동의 이동과 인적자본이론
49차시 선별가설과 노동시장의 유연성
50차시 임금의 의의와 성격, 임금수준의 결정요인
51차시 임금의 분류와 임금결정이론
52차시 최저임금제의 개념과 기대효과
53차시 임금의 하방경직성과 임금관리
54차시 임금체계의 내용
55차시 연봉제와 성과급
56차시 집단성과급제도와 부가급여
57차시 생산성 임금제와 임금격차이론
58차시 임금격차의 원인
59차시 보상적 임금격차와 효율임금이론
60차시 실업의 개념과 경제활동인구조사, 필립스곡선
61차시 실업의 종류
62차시 기타 실업과 실망노동자효과와 부가노동자효과
63차시 통계상의 실업률과 실업의 원인과 대책
64차시 비정규직 근로자의 노동시장
65차시 노사관계의 의의와 노사관계의 주체
66차시 노사관계의 발전과정과 던롭의 시스템이론
67차시 노동운동의 이념과 각국의 노사관계의 특징
68차시 노동조합의 기능과 조직형태
69차시 기업별 노동조합과 샵제도
70차시 노동조합의 조직률 결정요인과 조합의 임금효과
71차시 단체교섭
72차시 단체협약과 쟁의행위의 개념과 요건
73차시 노동쟁의 행위와 사용자의 대항수단, 노동쟁의 조정방법
74차시 파업 이론
75차시 파업의 경제적 비용과 경영참가
76차시 경영참가 형태와 노사협의회

이승철 교수
[학력]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법학석사 졸업
[경력]
뉴엠 강사
YBM커리어캠퍼스 강사
국제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춘천여성인력개발센터 강사
수원엠아티능력개발원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