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 과정
- 학습목표 및 학습내용
- 평가기준 및 수료기준
- 강사소개
본 교과목에서는 한국어 문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문법을 외국인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교수하는 적절한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하여 결과 중심의 문법 교육, 과정 중심의 문법 교육, 의사소통식 문법 교육 등의 개괄적인 방법론을 살핀다. 또한 단어, 조사, 용언 등 세부적인 문법의 층위별로 적합한 교육의 방법에 어떠한 것들이 있을지 교육 방법을 찾아본다. 이를 통해 한국어 문법 교육에 필요한 기본적 지식을 습득하며 구체적인 교수법에 대한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1. 한국어를 가르치는 데 필수적으로 기초가 되는 한국어의 문법적 지식을 세부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2. 한국어 문법 요소를 파악하고, 이것을 현장에서 교수하는 방법론의 큰 범주들을 확인한다.
3. 각 문법의 층위별로 교수하기에 적합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교수 시 유의해야 할 점들, 문법을 교육하면서 평가해야 할 사항 등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한다.
* 각 차시별 목차
1강 - 문법이란 무엇인가
2강 - 교사들과 학습자들은 문법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3강 - 제 2언어와 외국어 교육 과정에서 문법 교수의 위상
4강 - 문법과 맥락, 담화
5강 - 문법/번역식 교수법과 문법 교육
6강 - 청각 구두/시청각 교수법과 문법 교육
7강 - 결과 중심의 문법 교육
8강 - 의사소통 중심의 문법 교육
9강 - 과정 중심의 문법 교육
10강 - 기능 중심의 문법 교육
11강 - 문법 교육의 원리와 한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12강 - 문법 교육의 수업 활동 유형
13강 - 문법 교육 평가
14강 - 듣기와 말하기에서의 문법 교육
15강 - 읽기와 쓰기에서의 문법 교육
16강 - 문법범주 개괄
17강 - 문법 교육 / 단어의 특징
18강 - 문법 교육 / 단어의 구성 방식
19강 - 문법 교육 / 체언
20강 - 문법 교육 / 관계언 : 조사 1
21강 - 문법 교육 / 관계언 : 조사 2
22강 - 문법 교육 / 용언 1
23강 - 문법 교육 / 용언 2
24강 - 문법 교육 / 용언 3
25강 - 문법 교육 / 수식언, 독립언
26강 - 문법 교육 / 수식언, 독립언
27강 - 문법 교육 / 문장의 성격 1
28강 - 문법 교육 / 문장의 성격 2
29강 - 문법 교육 / 문장 성분 1
30강 - 문법 교육 / 문장 성분 2
31강 - 문법 교육 / 문장 성분 3
32강 - 문법 교육 / 문장의 구성 방식 1
33강 - 문법 교육 / 문장의 구성 방식 2
34강 - 문법 교육 / 문장의 구성 방식 3
35강 - 문법 교육 / 문장 종결법 1
36강 - 문법 교육 / 문장 종결법 2
37강 - 문법 교육 / 대우법
38강 - 문법 교육/시간 표현
39강 - 문법 교육 / 피 사동 표현
- 학습목표 및 학습내용
- 평가기준 및 수료기준
- 강사소개
평가방법 |
1. 출석(진도) 80% 이상 출 석 : 별도의 점수는 없으나, 출석률이 80%이상 되어야 최종평가(시험) 응시와 레포트(과제) 제출이 가능합니다. |
---|---|
2. 최종평가(시험) 60점 + 레포트(과제) 40점 = 총 100점 만점에 60점이상 최종평가(시험) : 객관식 15문항, 단답형 5문항 = 총 20문항 레포트(과제) : 해당 주제에 대한 내용을 A4 2장 이상 분량으로 제출 (pt 10 기준) | |
수료기준 | 출석율 80%이상과 최종평가(시험), 레포트(과제) 총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
- 학습목표 및 학습내용
- 평가기준 및 수료기준
- 강사소개
교사명 | 김 지 학 | ||
---|---|---|---|
학력 | 상명대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석사
카톨릭대학교 외국어로서의한국어 교육박사과정 | ||
주요경력 |
인덕대학교 국제어학원 강사 경인여자대학교 국제교육원 강사 그린한국어센터 강사 상명대학교 외래강사 |